탄수화물이란?

단당류(monosaccharide), 과당류(oligosaccharide), 다당류(polysaccharide)로 분류되며
다당류를 가수분해 하면 과당류가 되고, 과당류를 가수분해 하면 단당류가 된다

★단당류는 설탕이라고도 하고 또는 화합물로 가수분해되지 않는 탄화수소이다
   포도당(glucose)이 이에 속한다

★과당류는 적어도 2개 또는 3~4개의 단당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단당류는 같은 종류일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일 수도 있다)
 단당류가 몇개 붙었는가에 따라 이당류, 삼당류 등으로 불리고
 여기에는  맥아당(포도당 두분자로 이루어짐)과 자당(sucrose 즉, 설탕
 서로 다른 단당류인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루어짐)등이 이에 속한다

★다당류는 많은 단당류 단위를 포함하는 물질을 말하며 때로는 수백~수천 개의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녹말(starch)는 식물체에 있어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수화물로써, 곡률, 감자, 옥수수, 또는 쌀의
     주성분이고. 이는 사슬에 1,6-α-글라이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많은 곁가지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주로 1,4-α-글라이코사이드 결합에 의해서 연결된 글루코오스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녹말을 완전히 가수분해 하면, D-글루코오스만 생성된다

   ◆글라이코젠은(glycogen)은 동물의 에너지 저장용 탄수후화물이다
      녹말과 같은 단위로 구성되어 있지만, 분자량은 녹말보다 더 크다(대략 100,000개의 글루코오스 단위로 되어 있음)

   ◆셀룰로오소(cellulose)는 글루코오스의 1,4-β-글루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곁가지가 없는 고분자다
<여기서 보면 셀룰로오스는 1,4-베타-로 되어 있고, 녹말은 1,4-알파-로 되어 있는데.
 베타로 된거는 사람이 소화시킬수 없다고 한다, 사람의 몸에는 1,4-β-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가수 분해 할수 없는
효소가 없기 때문이다)

키틴(chitin) 갑각률의 껍질과 곤충의 외골격을 이루는 질소를 포함하는 다당류.
펙틴(pectin) 젤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다당류.
아라비아 고무(gum arabic)와 그 외 고무질(gum), 또는 점액질, 연골에서 발견되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간이나 심장에서 발견되는 혈액응고 방지제인 헤파린(heparin), 혈장 대체물로 사용되는 덱스트란(dextran)등이 있다

★ 단당류 음식이라고 하는 것들을 설탕,꿀,시럽,코스위트,흑설탕,밀가루음식,쥬스 등 상당한 음식들을 꼽지만
   엄밀히 말한면 단당류가 아니다
   다당류인 음식을 말하는 것은 맞지만 단당류인 음식을 말하라는 것은 모든 탄수화물음식이라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당류는 구조에 따라 3-10 탄당까지 있으며 우리몸에 존재하는 단당류의 형태는
   포도당,퓨코즈,만노즈,갈락토즈,자일로즈,엔아세틸글루코사민,엔아세틸갈락토사민,엔아세틸뉴라민산 등 8가지입니다.
   이런 단당류들의 복합적인 형태가 음식물이므로 단당류의 음식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모든 탄수화물이 답이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단당류라고 하는 음식은 단당류의 결합된 형태이지 단당류가 아니며
  소화흡수가 되어야 단당류라 할 수있다
   즉, 복합탄수화물이 아닌 단순탄수화물 형태의 음식이라고 해야 맞다

★전분질,즉 녹말이 대표적인 다당류이기에 녹말이 들어있는 식품은 전부 다당류식품이다.
  쌀,보리,밀,옥수수등의 곡물부터 콩종류와 감자나 고구마등의 구황식물을 포함한 야채류,밤이나 호두,땅콩등의
  견과류,칡등에 이르기까지 다당류식품은 범위가 아주 넓다

  다당류는 단당류보다 직접적으로 단맛이 나지않으며 소화흡수속도가 느리다는 특징이 있다
 게다가 설탕같은 단당류가 우리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발표도 있다
 하지만 단당류의 경우 우리몸에서 에너지로의 전환이 빨라서 격한운동이나 피로가 쌓이는 활동중에 섭취하면
 근육의 피로를 떨어뜨리는 기능이 있으며 우울증이나 스트레스등을 해소하는데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고도 한다
 다당류던 단당류던 섭취한후 단당류상태로 흡수되는데 소비열량에 비해 너무 많이 섭취하면 지방으로 전환되어
 축적돼서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한다

《글리코겐》

글리코겐은 간과 근육에 저장되는 에너지원을 말한다
근육운동을 하면 근육내 저장되어있는 글리코겐이 에너지원으로 사용이 된다
이러한 글리코겐은 항상 수분과 함께 저장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근육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것은 맞지만,
이것은 내가 근육이 얼마만큼 있는가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즉.내가 가진 근육이 100 이라면 근글리코겐의 수분함량과 더불어 그 크기는 150이 된다
그냥 탄수화물만 많이 먹는다고 하여 근글리코겐의 크기가 커지는게 아니다
근손실은 글리코겐의 소실과는 다르며,
근손실은 근세포 하나하나에 붙어있는 단백질들이 떨어져 나가는것을 말하는것이고,
글리코겐 소실은 글리코겐이 에너지로 사용이 되었다는것을 의미하는 것.
글리코겐소모는 탄수화물의 소모이고 근소실은 단백질의 손실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