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께서 ` 잠들기 전에 가야할 먼 길`을 서두르신 것은 `엠마오로 가는 길`에서처럼 부활하신 이유뿐이 아닙니다

주님의 일생은 잠시도 쉴 틈ㅁ이 없는 고난의 역사였습니다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지고 허덕이는 사람은 다 나에게로 오너라 내가 편히 쉬게 하리라" (마태 11.28)라고

말씀하셨지만 정작 자신은 저희들의 허덕이는 고생과 무거운 짐을 `멍애`처럼 대신 지고 십자가에 못 박혀 `가시 나무로

만든 왕관을 머리에 쓴 최후의 모습` (요한 19.2)처럼 가시밭길의 연속이셨습니다

 

 태어났을 때부터 마굿간에서 `포대기에 싸여 말구유`(루가 2.7)에 눕혀졌으며 곧바로 이집트로 피난가서 난민생활을

했습니다. 고향사람들로부터는 `저 사람은 가난하고 평범한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마태 13.55)라고 `지혜의 능력`을 의심받고

하찮은 목수 취급을 당했습니다 공생활을 시작한 이후에도 `찾아오는 사람이 너무 많아 음식을 먹을 겨를조차 없어

주님은 제자들에게 따로 한적한 곳에 가서 쉬자`(마르 6.31)리고 말할 정도였으며 마귀에 홀린 아이를 고쳐달라고 간청하자

"내가 언제까지나 너희와 함께 살며 이 성화를 받아야 한단 말이냐" (마태 17.17)고 꾸짖을 정도로 과로의 연속이셨습니다

 오죽하면 "여우도 굴이 있고 하늘의 새도 보금자리가 있지만 사람의 아들은 머리 둘 곳조차 없다"(루카 9.58)고 한탄하셨을까요

 

 그런데 아이러니칼하게도 성경에는 주님이 머리를 두고 주무시는 장면이 한군데 나옵니다. 그것은 방도, 침대도 아니며

한적한 들판도 아닙니다 조각배 안입니다. 배 안이라 해서 안락한 선실도 아닌고, `뱃고물울 베개삼아 주무시고 계십니다

(마르 4.38) 그것도 거센 바람이 일어 물결이 안으로 들이쳐서물이 거의 가득 차게 된 배 안에서 깊은 잠을 주무십니다

공포에 질린 제자들은 "선생님 저희가 죽게 되었는데도 돌보지 않습니까"(마르 4.38)라고 성화를 부리며 주님을 깨웁니다

주님은 일어라 바람을 꾸짖고 바다를 향해 `고요하고 잠잠해져라` 하고 호령하시자 바람은 그치고 바다는 잠잠해집니다

그리고 나사 주님은 제자들에게 `왜 그렇게 겁아 먾으냐?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하고 책망하십니다

 이제야 저는 알게 되었습니다

최후의 유언으로 `보라,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함께 있겠다`는 말씀을 남긴 주님께서 저와 함께 계신 곳은 바로 제 마음 속임을.

 

주님은 제게 말씀하십니다 "호수 저편으로 건너 가자" (마르 4.35)

호수 저편은 이승의 번뇌를 해탈한 유토피아 즉, 피안의 세계.

 

 저는 주님을 제 배에 모시고 호수 건너편으로 노를 저어 갑니다 어떤 때는 바람에 돛이 부러지고 거센 파도가 배안까지 들이찹니다

그러나 주님은 제 마음의 뱃고물에 머리를 기대고 편히 주무시고 계십니다

하늘과 땅의 주인이신 그리스도가 주무시는데 제까짓 바람과 바다가 어찌 배를 집어삼킬 수 있겠습니까마는 `저는 그만

① 거센 바람을 보자

② 무서운 생각이 들어

③ 주님 살려 주십시오` 하고 비명을 지르며 성화를 부립니다

 

 거센 바람의 의심과 죽게 되었다는 맹목의 두려움은 주님에 대한 믿음을 여지없이 무너트리는 교활한 악의 유혹입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 `교요하고 잠잠해져라`하고 명령하신 것은 바람과 바다를 꾸짖으신  것이  아니라 사소한 의심과 두려움으로

흔들리고 있는 제 믿음에 대한 책망인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도 주님은 제 마음의 배 안에서 주무시고 계십니다 아아, 제가 무슨 일이 있어도 주님을 깨우지 않고 멍멍개야

짖지마라, 쉬잇! 꼬꼬 닭아 울지마라, 쉿! 달빛은 영창으로 은구슬 금구슬을 보내주는 이 밤, 잘 주무세요

우리 주님!하고 자장가를 부를 수 있도록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요한 20.29) 저에게 굳은 믿음을 허락하소서. 아멘

  

                 ---   최인호 베드로 / 작가 -----